2024년 소비재 수출 동향 분석

반응형

 

최근 KOTRA에서 발표한 '24년 소비재 수출 동향 분석 글을 읽게 됐습니다.

(회사 일과 관련해서 읽다가...)

 

이 내용을 정리해서 포스팅하면 어떨까 생각하여 정리하여 포스팅합니다!

 

24소비재수출동향분석.pdf
2.66MB

 

서론

2023년은 대한민국 소비재 수출에 있어 중요한 해였습니다.

전반적인 경기 둔화와 반도체 업황 부진에도 불구하고, 소비재 수출은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소비재 수출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시장 전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2023년 소비재 수출 개요

2023년 우리나라 소비재 수출은 992억 달러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15.5% 증가한 수치로, 전체 수출이 7.5%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원자재와 자본재 수출이 각각 12.8%와 9.5% 감소한 반면, 소비재 수출은 플러스 성장을 보였습니다.

 

반응형

 

기업 규모별 소비재 수출 실적

소비재 수출 실적을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이 632억 달러, 중견기업이 109억 달러,

중소기업이 243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자동차 수출 호조로 대기업의 수출 실적이 크게 증가했으나,

자동차를 제외한 중소기업의 수출 실적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는 소비재 주요 세부 품목 19개 중 중소기업이 주도한 품목이 13개로

대기업(3개)이나 중견기업(4개)보다 월등히 많다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수출 품목별 실적

2023년 상위 10대 소비재 수출 품목 중 4개 품목은 수출이 증가했으며, 6개 품목은 감소했습니다.

 

주요 품목별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자동차: 584억 달러, 33.4% 증가
  • 화장품: 81억 달러, 5.9% 증가
  • 가전제품: 66억 달러, 22.9% 감소
  • 내구성 생활용품: 60억 달러, 1.9% 감소
  • 가죽 및 고무제품: 38억 달러, 0.7% 감소
  • 조제식료품: 36억 달러, 12.7% 증가
  • 수산물: 24억 달러, 8.2% 감소
  • 의류: 21억 달러, 4.0% 감소
  • 농산물(소비재): 18억 달러, 4.6% 증가
  • 기타 비내구 소비재: 14억 달러, 10.1% 감소

 

 

글로벌 소비재 시장 동향

2023년 주요 소비재 수입 시장은 둔화되었지만, 대한민국 소비재의 대외 수출은 증가했습니다.

특히,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대한국 수입이 증가하여 글로벌 소비재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이 확대되었습니다.

 

시사점 및 전략

K-콘텐츠와 연계된 마케팅 전략 강화

K-푸드의 인기가 2023년 소비재 수출 증가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소비재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

K-콘텐츠와 연계된 마케팅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드라마나 음악을 활용한 마케팅 캠페인은 소비재 수출을 더욱 촉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중소기업 지원 강화

중소기업의 경우 조제식료품, 농산물 등 다양한 제품군에서 수출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지속적인 제품 다변화 전략을 모색해야 합니다.

정부와 관련 기관은 중소기업의 혁신과 성장에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새로운 시장 개척

현재 소비재 수출의 상당 부분이 미국에 의존하고 있어 특정국으로의 높은 수출 의존도로 인한 위험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소비재 신시장을 개척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나 중남미 시장 등 잠재력이 큰 지역에 대한 진출을 모색해야 합니다.

 

결론

2023년은 한국 소비재 수출에 있어 도전과 기회의 해였습니다.

소비재 수출의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K-콘텐츠와 연계된 마케팅 전략 강화, 중소기업 지원, 새로운 시장 개척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한국 소비재가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 소비재가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갖추고,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반응형